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쿠르트 헬보르크

덤프버전 : (♥ 0)

미니어처 게임 워해머 판타지의 주요 인물 일람
[ 펼치기 · 접기 ]
선 세력제국&
마린부르크
지그마 헬든해머카를 프란츠팔텐발타자르 겔트
폴크마보리스 토드브링어마르쿠스 불프하르트펠릭스 예거
루트비히 슈바르츠헬름엘스페트 폰 드라켄마리우스 라이트도르프루터 후스
쿠르트 헬보르크경건한 마그누스벤델 폴커그레고르 마탁
에마누엘레 폰 리프비츠테오도레 브루크너에밀 팔가이르알베리히 폰 코르덴
팔미르 폰 라우코프알데브란트 루덴호프펠릭스 만에드바르트 반 데어 크랄
요한 반 할유발 폴크테오데릭 가우저볼프람 헤르트비히
알베리히 하웁트-안데르센헬무트 포이어바흐티루스 고르만한스 라이트도르프
마티아스 툴만만드레트 스케이븐슬레이어라인 볼크하르트악셀 바이스베르크
포른 튜겐하임루이트폴트더러운 해럴드막시밀리안 슈라이버
디터 4세데스클로--
키슬레프카타린보리스 보카토르디미르 루보바신스테판 라신
무로바의 일자울리카 매그도바 스트라코프미스카바바 야가 -> 오스탄키야
이고르 뇌제유리 코발렌코살탄소보스
나이베나바바 쿠블레야바다 마녀바바 오술레그
바예나 우르솔라프누카카자하일라 예브스첸코다리나 보리나도 보카바바 포고드야
루드비히 라헤주커비앙카 오스토비치오굴라이피의 카타린
나디아 우네스카 보레스코바코사미르막심 자카로프헤드온 디야카노프
알렉시 마카레프카스파르 폰 펠텐코스탈틴이반 라디노프
우르스킨파벨--
드워프토그림 그루지베어러벨레가르 아이언해머웅그림 아이언피스트그롬브린달
쏘렉 아이언브로우고트렉 거니슨그림 벌록슨고트리 해머슨
진중한 크라그조세프 버그만말라카이 마카이슨카자도르 썬더혼
레드 브로크알릭 라눌프손미친 알라릭비르노스 그룬다드라크
탄그림 파이어비어드스케기 스렉슨바즈라크 볼간두르자크 드래곤백
우드 엘프&
트리맨
오리온두르투황혼의 자매드라이차
아리엘아랄로스스칼록나이에스
다이스그루아스코에딜알리사라
살란도르로슬란위치웨딜스케올란
스카우아델윈엘스린그웨르쿠스
욜라스아마드리 아이언바크--
브레토니아루앙 레옹쿠르알베릭신록의 기사태산의 앙리
페이 인챈트리스리용세의 르팡스루이트리스트랑 & 줄스
보에몽베르트랑말로보드메로베크
제로드칼라르테오도릭아달라르
카시용아말릭아르망위에발
토베르실프루아탕크레드 2세안셀름
하겐폴카르아그라방기욤
알루아엘레아노르--
하이 엘프티리온테클리스알라리엘알리스 아나르
엘사리온임릭아에나리온카라드리안
코힐아이슬린핀누바르칼레도르 드래곤테이머
벨라나에르이렐리안엘디라알리아스라
임랄리온켈란다르알라타르칼라이단
길리아드 로세인벨 샤나르--
리자드맨마즈다문디크록-가르테헨하우인틱타크토
나카이고르-로크옥시오틀크로악
테토에코차칵스후이니테누츨리아도히-테가
즐라트가르텐-즐라티로틀-보틀퀴고르
티치 후이치잉시-후인지슬롯크테누츨리
캐세이천룡황제원숭이 왕묘영조명
인-투안시안 하 펭월황후포 사부
원보시야마이도윤은
악 세력워리어 오브 카오스 &
노스카
아카온모르카르아사바르 쿨칸토
바르덱 크롬해럴드 해머스톰엔그라 데스소드코르델 쇼가르
저주받은 모르드렉콜렉 선이터불패의 아르바알실라 안핑그림
하르그로스스카 블러드래스피의 아브락스바슬로 크룰트
페스투스글롯킨거트롯 스퓸타무르칸
케이즈크불신자 사일페이토르발니르
오르곳 데몬스퓨블롭 롯스폰드모르비덱스 트와이스본페스탁 크란
에오그릭빌리치갈라우크에그림 반 호르스트만
에콜드 헬브라스변화자 멜레크지그발트데칼라
스티르카르반드레드울프릭쓰로그
에길 스티르비욘흑철약탈자 몰트킨에릭 레드액스크라칸로크
로타르 부보니쿠스아그라몬아엘프릭피 묻은 손 스벤
아렉 데몬클로 ---
데몬 오브 카오스벨라코르카이로스 페이트위버스카브란드사르소라엘
쿠가스아자젤느카리피의 발키아
체인질링스컬테이커마스크카라나크
카반다에피데미우스자르칸블루 스크라이브
아몬 차카이아민흐리스--
뱀파이어 카운트 &
좀비 파이러츠 &
고분 군단
나가쉬흑암의 아칸블라드 폰 카르슈타인만프레트 폰 카르슈타인
네페라타크렐콘라트 폰 카르슈타인왈라크 하콘
루터 하콘콘스탄트 드라켄펠스이자벨라 폰 카르슈타인녹틸러스
하인리히 케믈러붉은 공작헬만 고스트압호라쉬
우쇼란우소란반게이스트문드바드
니토크리스디터 헬슈니흐트세텝보라그
불멸의 자카리아스고대의 멜키오르드레클라주느비에브 디외도네
프레드릭 반 할가브리엘라 폰 나흐타픈카돈-
오크&고블린 &
새비지 오크
그림고르 아이언하이드스카스닉아자그우르자그
그롬골바드모르글룸고르팡 롯것
스나글라보르것그락 비스트바샤그록카 고어액스
루글루드오글록깃 거즐러깃틸라
빅 레드 언라크닉보르가즈 아이언조리틀 고크
그랍냇츠그롯츠내그스카벤드크레이지 스파이더
두르콜토그렉도르크네 눈의 티닛
그롯팽오드깃스나가우즈구즈
나즈고브바드룩블랙투프니블릿
다크 엘프말레키스모라시헬레브론로키르 펠하트
말루스 다크블레이드비스트로드 라카스코우란 다크핸드쉐도우블레이드
툴라리스 드레드브링어바쉬나르유리안 포이즌블레이드말리다
나가이라호텍칼도르모르사로르
칼다스---
비스트맨카즈라크말라고어몰구르타우록스
골소어문클로고로스 워후프4개의 뿔 운그롤
하빈저슬러그통그락타르라구쉬
오그라스우르슬라크와 가르고라쓰--
카오스 드워프 &
홉고블린
잿빛의 드라조아스검은 자탄고르두즈아스트라고스 아이언핸드
토드렉 핵카르트홉고블라 칸호스가르듀란
블랙 드워프바제라크리카스잔혹한 고르스
스케이븐퀵 헤드테이커스크롤크트레치 크레이븐테일이킷 클로
스닉치불결한 쓰롯고리치탄퀄
스크리치 버민킹스카 블러드테일스크윌 노투스페스키트
스크렛치너글리치모르부스 생귀스클라우문카스트
베스키트스캐비쿠스노드웰크렛치 둠클로
중립 세력툼 킹세트라칼리다카텝아포파스
네카프람호텝알카디자르
투탄카누트아만호텝네헥세헤네스메트
루페시라미자쉬--
독스 오브 워
(남부 왕국)
야에고 로스아라네사 솔츠파이트보르조브루너
인색한 미다스로렌초 루포루크레치아 벨라도나페르나도 피라초
모르간 베른하르트흑색의 라이트폴트레오나르도 디 미랄리아노마르코 콜롬보
이사벨라 지오반나 루첼리후안 페데리코--
오거 킹덤그리수스 골드투스골그팍스크라그브라그
가르크 아이언스킨그로스 원핑거브라우그크로그
말론 아이바이터블라우트 피스트마스터바울디그 마운틴이터-
아라비자파르황금 마법사알 묵타르파탄디라
사라센의 술리만이븐 젤라바--
아마존펜테실레이아아나콘다--


파일:kurt_helborg.png
Kurt Helborg, Reiksmarshal of the Empire
제국의 라익스마샬, 쿠르트 헬보르크

1. 개요
2. 설정
2.1. 엔드 타임
3. 미니어처
4. 기타
5. 출처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Warhammer(구판)의 등장인물. 라익스가드 기사단의 기사단장인 그랜드마스터이자 제국군의 최고 지휘관인 라익스마샬의 지위에 있는 인물로 카를 프란츠가 신뢰하는 최측근 중 하나이다.


2. 설정[편집]


제국 최강의 검사. 마찬가지로 제국의 뛰어난 투사인 루트비히 슈바르츠헬름과의 뜨거운 시합 이후 올드 월드의 뛰어난 검사로 명성을 얻었다. 생애 대부분을 전투에서 보냈고, 올드 월드에서 가장 경험이 많은 장군 중 하나라고 한다.

라익스가드 군대와 제국군을 이끌고 제국의 어둠 숲, 키슬레프의 얼어붙은 황무지부터 아라비의 타오르는 사막까지 올드 월드의 알려진 세계 전역에서 싸웠다고 한다.

무기로 12개의 룬팽 중 하나인 졸란트의 룬팽을 사용한다. 본래대로라면 졸란트의 룬팽은 졸란트 선제후가 가지고 있어야하지만, 졸란트는 오크 워보스 골바드 아이언클로에 의해 함락된 후 비센란트에 흡수되어 사라졌기 때문에 쿠르트 헬보르크가 소지하고 있다.

소설 쿠르트 헬보르크: 의무와 명예(Kurt Helborg: Duty and Honour)에서 제국-브레토니아 국경지역에서 일어난 분쟁 때 참여한 일화가 있다.

제국 측 지휘관은 쿠르트 헬보르크, 브레토니아 측 지휘관은 알렝벵송의 자작이었다. 두 군대가 교착 상대에 빠지자 브레토니아 측이 제국 측에 결투를 제안했고 쿠르트 헬보르크는 이를 받아들였다. 쿠르트 헬보르크는 제국 최강의 검사였지만 알렝벵송의 자작 역시 성배 기사[1]였고 점차 헬보르크가 밀리게 되었다. 알렝벵송의 자작은 헬보르크를 패배시킨다. 헬보르크가 처음 결투에서 패배한 경우였다.[2]

자작은 그가 용감하게 싸웠지만 애석하게도 더 이상의 유혈을 막으려면 라익스마샬을 죽여야 한다고 일러주고 헬보르크를 죽이려 한다. 그 순간, 제국군이 합의를 배신하고 브레토니아군을 향해 대포를 발포한다. 쿠르트 헬보르크는 처음부터 주의를 돌리기 위해 결투에 합의한 것 뿐이었던 것이다. 브레토니아군은 제국군의 포격에 산산조각이 났고, 자작이 당황한 사이 헬보르크는 그를 공격해서 무장해제시킨 다음에 목을 베어버린다.[3] 이때 자작은 그를 '신의 없는 자(Faithless)!'라 비난하며 죽음을 맞이 한다.

명예는 돼지치기와 처녀들을 위한 것이다.

이건 전쟁이란 말이다!

-자작을 편법을 써서 죽이고 나서.


자신보다 훨씬 훤철하고 멋진 기품의 성배 기사를 이렇게 죽인 것[4]에, 쿠르트는 일말의 죄책감을 느꼈으나 잠시 뿐이었고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전투를 계속 이끌어 간다. 현실적인 그의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

2019년 단편소설 '알트로드프의 대공'에서는 카를 프란츠의 전임 황제[5] 시기에 젊은 라익스가드 대장[6][7]으로 등장해 황제 일가를 호위한다.[8]


2.1. 엔드 타임[편집]


파일:Kurt_Helborg.png

제국력 2525년, 알트도르프에서 벌어진 알트도르프 공방전(알트도르프의 몰락)에서 제국군 총사령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알트도르프 공방전에 앞서 갈 마라즈 보관소에서 지휘관들을 다독이는 연설을 한다. 대종정 그레고르 마탁이 적이 하수도에 숨어들 수 있으니 순찰할 병력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으나 쿠르트는 성벽에 올릴 병사도 모자른데 물증없는 말을 순순히 들어주면 권위를 잃게 될까봐 생각해 마탁의 요구를 거절한다. 그러나 마탁이 말한대로 페스투스가 하수도로 잠입해 쿠가스를 비롯한 너글의 악마들을 소환하는 의식을 벌여 하수도에서 악마들이 나타나자 쿠르트는 자신이 마탁의 경고를 받아들었더라면 이런 결과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크게 후회하게 된다.

알트도르프 황궁 전투 중 황제 카를 프란츠와 함께 글롯킨 형제를 상대하지만 카를 프란츠를 구하다가 글롯킨 형제 중 오토 글롯킨에 의해 눈이 찔려 사망한다. 죽어가면서 카를 프란츠에게 "계속...싸우십쇼..."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카를 프란츠도 이때 다 죽어가던 처지였고 결국 그가 사망하면서 지그마가 카를 프란츠의 몸에 현신하는 것을 끝으로 제국의 마지막 황제와 라익스마샬은 사이좋게 역사에서 퇴장한다.

여담이지만 블라드 폰 카르슈타인이 카를 프란츠에게 보낸 편지를 받은 사람은 쿠르트 헬보르크다. 카를 프란츠는 블라드가 보낸 편지를 보지 못했다. 이 때 카를 프란츠가 실종상태였기 때문.


3. 미니어처[편집]


파일:KurtHelborg_6판.jpg
쿠르트 헬보르그, 제국의 라익스마샬320 포인트
능력치MWSBSSTWIALD
쿠르트 헬보르크476443649
크리에글러스트(군마)830331315

특수 규칙심리 면역, 완고한
황제에게 선택받은 자(The Emperor's Chosen)라익스가드에 합류시, 부대는 심리면역을 가짐. 쿠르트가 살해당하거나, 부대를 떠나면, 즉시 그 특수 규칙을 잃음.

매직 아이템
승리의 월계관(Laurels of Victory)각 전투시 상처는 2의 방호되지 않은 상처로 계산된다.
졸란트 룬팽(The Solland Runefang)졸란트 룬팽의 모든 공격은 아머 세이브를 무시하고 자동으로 상처를 입힌다.


4. 기타[편집]


아페어란트 선제후 마리우스 라이트도르프와는 사이가 안좋다. 마리우스는 쿠르트가 형편없는 콧수염과 끔찍한 치아 위생, 트롤 수준의 유머를 가졌다고 디스한다.

엔드 타임에서 카를 프란츠의 부재[9]로 최고지휘관을 맡거나 알트도르프 공방전을 앞두고 멋진 연설을 하는 모습이 조명되기도 하나 위의 소설에서 나온 일화로 디씨 워해머 갤러리, 토탈 워 갤러리에서 인성 논란에 시달리기도 했다. 하지만 사실상 인성 논란은 반 놀려먹는 식으로 언급되는 수준이며 토탈 워 갤러리에선 비꼼 반, 찬양 반으로 그를 '캐논마샬'이라는 호칭으로 부르곤 한다.

폐기된 스톰 오브 카오스에서 제국의 군대를 이끌던 카를 프란츠와 데스클로가 오스트란트로 가는 길에 비스트맨의 매복에 휘말려 부상을 입자 카를 프란츠를 대신해 제국군을 이끌게된다. 호흘란트의 연대의 도움으로 오스트란트로 가는데 성공했지만 울펜부르크가 카오스 측의 수르사 렌크에게 약탈당하자 분노한 쿠르트는 수르사 렌크를 공격했고 보야린 쿠르코스크의 군대가 합류해 수르사 렌크의 군대를 괴멸시키는데 성공했다.

제국의 또다른 위대한 영웅인 루트비히 슈바르츠헬름과의 라이벌 관계가 특히 유명하다. 본인들은 최대한 대답을 피하지만 이미 이 둘이 서로 경쟁 관계인 건 아주 유명하며 제국 내에서 헬보르크와 슈바르츠헬름 중 누가 더 뛰어난 영웅인가라는 주제가 술자리에서 나오면 거의 쌈박질로 번질 정도라고 한다.[10]

토탈 워: 워해머 시리즈에서는 1편 제국 집무실에서 라익스마샬 직위가 등장하고 2편에서 졸란트의 룬팽이 전설 아이템으로 등장하지만, 본인의 출연은 없는 상태다. 아마도 햄탈워 상에서는 제국이 브레토니아와 신뢰도를 형성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는데, 쿠르트 헬보르크가 게임 진행상의 디자인과는 행보가 반대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다만 1부에서 헌츠마샬 직위와 편지에서 언급만되었던 마르쿠스 불프하르트가 2부 DLC로 추가된 것처럼, 쿠르트 또한 차후 추가될 여지는 남아있다. 모드로는 햄탈워 2편 Mod인 Sword of Empire에서 라이벌이자 동료 루트비히 슈바르츠헬름과 함께 구현되어 있다.


5. 출처[편집]


https://warhammerfantasy.fandom.com/wiki/Kurt_Helborg
https://warhammerfantasy.fandom.com/wiki/Viscount_d%27Alemben%C3%A7on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2:45:49에 나무위키 쿠르트 헬보르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빛나는 갑옷을 입고 있고, 싸우는 헬보르크는 인간 이상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나중에 헬보르크가 정체를 물었을 때 성배 기사라고 답한 뒤에야 실제로 그랬음을 깨닫는다.[2] 초인급 피지컬의 성배 기사를 평범한 인간으로 1대1로 대등하게 싸운 것만으로도 대단한 것이다.[3] 사실 제국군이 단독으로 한 게 아니라 헬보르크가 성배기사를 잡아 둔 사이 대포로 밀어버리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제국군이 승리하지 않는 이상 결투는 무의미한 것이라 판단한 것.[4] 성배의 힘 때문에 갑옷 밑의 피부가 상아처럼 눈부시게 빛났으며 쓰러져서 절반만 보이는 얼굴마저도 너무나 아름다웠다고 한다. 갑옷도 너무 정교하고 화려해 자신의 갑옷은 너무나 조잡하고 초라해보였다고.[5] 카를 프란츠의 아버지이자 선대 라이클란트 선제후이기도 했다.[6] 원문은 Captain.[7] 카를 프란츠 대의 라익스가드 캡틴은 '한스 진틀러'라는 장수다. 실제로 햄탈워에 등장하는 라익스가드의 정예연대 이름도 진틀러의 라익스가드다. 알트도르프 공방전에도 참전해 활약했으나 결국 '거트롯 스퓸'의 손에 살해당한다. 거트롯 스퓸의 몸에 칼을 찔러넣었지만, 너글계통인 거트롯은 너글계열 특유의 생명력 덕분에 그 정도로는 꿈쩍도 하지 않았고 되려 죽여버린 것이다.[8] 아마 제국력 2470년생인 카를 프란츠보다 최소 20년~30년 정도 연상일 가능성이 높다.[9] 북쪽에서 카오스 군세와 싸우다가 배신한 왈라크 하콘의 뒷치기로 데스클로와 함께 추락해서 큰 부상을 입었고 제국에서는 황제의 실종으로 알려졌었다. 이후 알트도르프 공방전에서 다시 복귀, 제국군을 지휘한다.[10] 이는 둘의 신분, 사상, 성격 등의 차이가 극명해서 그런건데 헬보르크는 본인도 귀족 출신에 출신, 계급의 차이가 분명이 있으며 제국을 지탱하는 신분제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제정신인 평민보단 미치광이 귀족이 더 나으며 아무리 형편없는 귀족이여도 귀족이기 때문에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루트비히는 인구가 100명도 되지 않은 작은 마을의 가난하고 천한 집안에서 태어나 말단 병사에서 황제의 챔피언까지 오른 입지적인 인물로 아무리 상대가 높은 계급이어도 눈하나 깜빡하지 않지만 반대로 아무리 계급이 낮아도 하는 말에 일리가 있으면 일단 귀 기울여 듣는 마인드의 소유자다. 또한 헬보르크는 자신에게 환호하는 시민들에게 손을 높히 들어올리는 쇼맨십도 있고 귀족들과도 잘 어울리며 외교전도 잘 펼치는데 루트비히는 쇼맨십은 커녕 개선식에서 입는 화려한 갑옷이 불편하다고 투덜거리고 외교나 머리싸움보단 쿨하게 제국을 위협하는 적의 머리통을 날려버리는 걸 선호하는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차이가 극명해 둘은 항상 서로 경쟁 관계에 있을 수 밖에 없다.